초분

2008.08.04 15:17

김송기 조회 수:3127 추천:14

extra_vars1  
extra_vars2  


















21. 초분(草墳)

 


중부매일 jb@jbnews.com


 













부모 죽은후 바로 매장하면 불효

우리나라의 특이한 장례풍속의 하나가 초분(草墳)이다. 초분은 시신을 바로 땅에 묻지 않은 채, 돌이나 통나무 위에 관을 얹어 놓고 탈육될 때까지 이엉과 용마름 등으로 덮은 초가 형태의 임시 무덤을 말한다.


초분은 대개 짚으로 엮어 만든 용마름과 이엉으로 만드는데 이삼년 후에 다시 해체해 씻골을 한 다음에 최종으로 땅에 묻는 본장을 한다. 이렇게 초분을 만드는 것은 초분을 통해 최종으로 죽음을 확인하고 뼈를 깨끗이 씻어 묻음으로써 다음 세상에 재생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또한 초분은 아직 살아있는 존재로 여기기 때문에 초분 곁에서는 잠을 자도, 산소 곁에서는 자지 않는다고 한다.

초분의 관행은 장례풍속의 하나인 빈(殯)에서 기인한다. 일찍이 '동욱저'에 '장례풍속에 큰 목곽을 만드는데 길이는 십여장이다. 하나의 뚜껑을 열어 호(戶)로 했다. 새로운 사자(死者)가 있으면 모두가 매장한다. 겨우 열 수 있도록 하여 피육(皮肉)이 다하면 뼈를 취하여 그 곽(槨)안에 두는데 온가족이 그 곽을 사용한다.'라고 적고 있다.













   
▲ 초분은 시신을 바로 땅에 묻지 않고, 돌이나 통나무 위에 관을 얹어 탈육될 때까지 보관하는, 초가 형태의 임시무덤을 말한다.
100전만 해도 우리나라 남, 서해안의 도서뿐만 아니라 내륙에서도 광범위 하게 초분의 풍속은 이어졌지만, 일제 강점기 위생법의 제정과 화장의 권장 그리고 현대 산업화에 밀려 주로 남해안 여수시, 금오도, 완도군 청산도를 비롯해 도서지방에 일부 남아있을 뿐이다.













   
▲ 짐승들이 초분을 훼손 할 것에 대비해 울타리로 막는다. 설, 추석에 자손들이 다녀 갈 때 솔가지를 꺾어 초분에 꽂는다.
초분을 부르는 명칭도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불려진다. 초분을 '예빈' '초빈' '빈소' '빈수' '채빈' 등으로 불려 초분을 완전한 무덤으로 여기기보다는 마치 살아있는 사람을 대하듯 하며 아직 상 기간임을 나타내는 절차로 본다는 점이다.













   
▲ 초분을 하는 많은 이유 중, 시신을 탈육시켜 깨끗이 씻어 매장하므로, 효를 다 한다는 의미가 강조 되어있다.
초분을 하는 이유로는 부모가 돌아가셨는데 바로 매장하는 것은 불효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며, 시신의 육(肉)을 오물 및 추물로, 매장할 때에는 깨끗한 백골만을 땅에 묻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적당한 장지를 빨리 구할 수 없고, 정월이나 이월 달에는 땅을 건드리면 마을에 우환이 생긴다거나, 조상에 대해 효도의 표시로 한다는 의식을 많이 갖고 초분을 하는 것이다.













   
▲ 초분의 장례의례도 일반 상례와 같다. 다만, 바로 매장하지 않고, 세월이 흘러 다시 본장을 한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초분의 장례 결정은 대개 성복전에 집안 또는 문중회의를 거쳐 이루어진다. 일단 초분 장례로 결정되면 집안에서 초분 할 장소를 물색하고 마을에서 초분 제작에 필요한 짚을 구해 이엉과 용마름을 제작한다. 초분은 사람의 왕래가 적은 야산이나, 자기 밭 같은 경작지 주변에 만드는데 초분 장소가 결정되면 미리 땅을 평탄하게 고른 다음 굵은 돌로 관 넓이만큼 펴서 깔아 놓는다.













   
▲ 밭같은 경작지 모퉁이를 초분 장소로 택한다. 땅을 평탄하게 고르고 돌로 조금 높게 한 다음, 그 위에 관을 놓고 이엉과 용마름으로 덮는다.
발인 후에는 상여로 관을 초분 장소까지 이동하고 상여가 도착하면 돌을 깔아 놓은 덕대 위에 안치하고 짚이나 가마니를 깐 후 소나무 가지를 꺾어서 관보다 조금 넓게 편다. 상여에서 관을 내어 머리부분이 산 위쪽으로 가게 덕대위에 안치하고 다시 꺾은 소나무 가지와 짚, 가마니로 덮는다.

그리고 나서 이엉으로 관을 돌려 감싸 올리고 최종으로 용마름을 올려 초가집 지붕을 얹듯이 줄로 엮어 매고 사방으로 끈에 돌려 묶어서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마무리 한다. 그리고 초분 주위를 생솔가지로 울타리를 만든다. 날짐승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초분의식이 모두 끝나면 보통 초분을 한지 3년 정도 지나면 시신의 오물이 다 빠지고 탈육이 잘 되어 뼈만 남아 이장할 수 있다.

이장은 주로 한식이나 윤달을 택해 하는데 날은 보통 지관과 상의하지만 사자의 운에 따라 정하게 된다. 초분을 해체하기 전에 간단히 고유제를 지내고 해체하여 유골을 확인한 후에 탈육된 유골을 골라서 깨끗이 씻는다. 깨끗해진 유골을 창호지 위에 머리부터 목, 팔, 몸, 다리, 발끝까지 차례차례로 맞추어 염(殮)하듯이 다시 묶는다. 그리고 이것을 묘지까지 옮겨 매장을 하면 모든 순서가 끝나는 것이다.

이러한 초분의 관행은 장례를 두 번 모시는 번거로움과 생활환경의 변화로 거의 볼 수 없지만, 마지막 통과 의례인 상장례 문화를 연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하겠다.

/ http://www.songbonghwa.ne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독~!!! 청산도 갤러리와 동영상, 자유게시판에 글쓰는 방법입니다...^^ [1] 한바다 2014.04.02 60638
1581 유리공예4 file 맑은세상 2008.03.05 3149
1580 나의 피서 file 바다사랑 2005.08.17 3148
1579 우리는 남매 file bublle 2007.05.11 3147
1578 범죄 file 고래지미 2012.03.31 3146
1577 바다 file 고래지미 2011.05.18 3146
1576 10.04~10.30까지 평일 주말 청산도 여객선 운항 시간표 file 한바다 2011.10.08 3145
1575 고래지미3 file 한바다 2004.11.05 3141
1574 청산도 산행 file 김송기 2012.11.21 3138
1573 도농교류 file 한바다 2011.05.16 3130
1572 규식이형과 호준이 file 김정현 2004.10.30 3128
» 초분 김송기 2008.08.04 3127
1570 일몰 file 김찬호 2012.05.08 3118
1569 아! 5월의 청산도여... file 김선규 2005.07.22 3116
1568 명품길 file 고래지미 2012.11.23 3113
1567 청산도의 가을... file 한바다 2011.10.04 3111
1566 아 버 지 ... file 한바다 2009.08.20 3109
1565 자전거투어 file 한바다 2009.10.16 3108
1564 여름은 역시 해수욕장이야 !! file 민박집 2005.08.21 3100
1563 청산 여름 여행 file 고래지미 2005.08.19 3098
1562 완도 농수산물 큰잔치 file 정현 2008.11.15 30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