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란 무엇인가요?

2010.02.04 20:17

한바다 조회 수:2879 추천:24

extra_vars1 img_cuThar-추석차례상.gif|||||||||||||||||||||||| 
extra_vars2 |||||||||||||||||||||||||||||||||||||||||||||||||||||||||||||||||||||||||||||||||||| 




차례 차례란 무엇인가요?

제례보기

설차례(파평윤씨)설차례(파평윤씨)

동지차례(서흥 김씨)동지차례(서흥 김씨)

차례란? 차례는 설이나 추석과 같은 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례를 말한다. 이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차례는 언제 지내는 가? 예전에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명절에 지냈는데 지금은 대개 설, 추석 등의 명절날에만 지내고 있다. 예전에는 새벽이나 아침 일찍 지냈는데, 지금은 먼 곳에서 모여야 하므로 늦게 지내는 편이다.

추석차례(한주종택)추석차례(한주종택)

차례는 누구에게 지내는 제사인가? 돌아가신 조상 가운데 자신으로부터 4대(고조)까지 해당된다. 5대 이상은 시제의 대상이 된다.

차례는 누가 지내는가? 종법의 원리에 따라 장자와 장손이 제주가 된다. 그러나 차차, 차손일 경우 그 집안의 가장이 제주가 된다.

중구차례(하회 양진당)중구차례(하회 양진당)

차례는 어디에서 지내는가?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을 때는 사당에서 지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개 대청이나 큰방에서 지낸다. 그러나 가옥의 구조나 지방 그리고 가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차례를 지내려면 어떠한 것을 준비해야 하나? 고조까지 4대 봉사를 할 경우 신위를 모시는 교의, 제상, 제기 등은 4벌씩을 준비해야 하고 병풍, 향안, 향로, 향합, 소탁, 자리 등은 한 벌만 있어도 된다. 원칙은 4대를 동시에 지낼 경우 교의와 제상 4벌이 필요한데 준비가 어려우면 윗대 조상부터 차례로 여러 번 지내거나 하나의 큰상에 구분하여 차리면 된다.

송편

차례 음식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차례 음식은 계절의 특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므로,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나머지는 기제사 음식과 유사하다.

차례상은 어떻게 차리는가? 상차림의 기본은 기제와 같으나 몇 가지 다른 점만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1. 적(炙)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린다.
2. 밥과 국의 위치에 설에는 떡국을 놓으며 추석에는 송편을 놓거나 떡의 위치에 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차례는 어떠한 절차로 지내는가?차례를 지내려면 3일전부터 목욕 재개하여 심신을 청결히 하여야 하고, 차례 당일 아침에는 사당과 제청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그리고 나서 집안의 안주인을 중심으로 탕, 떡, 부침 등의 차례 음식을 준비하고, 남자들은 축문, 지방, 꼬치, 제기 등의 차례에 필요한 기구들을 준비하는가 하면 고기, 과일 등의 차례음식을 장만한다. 차례를 지내는 시간이 되면 제상과 병풍 등의 집기를 준비하여 둔다.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축문을 읽지 않고 잔을 한번만 올린다. 이에 반해 기제사는 술을 세 번 올리고, 축을 읽는 것이 크게 다르다.

  • 1. 진설(陳設)

    차례상에 음식을 차린다는 의미로 술잔, 수저, 실과 등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린다. 차례는 기제사로 모시는 4대의 조상 모두를 한 자리에 모시고 지내는 제례이므로 각 대수별로 별도의 상에 따로따로 차려야 한다. 그러나 차례상이 부족할 경우 한 상에 차리되 각기 구분하여야 한다.

  • 2. 출주(出主)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사당에서 차례를 지내기 때문에 이 절차가 필요없다. 그러나 지방으로 모실 경우에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지방을 모두 작성하여 모신다.

  • 3. 강신(降神)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조상님의 신이 차례를 지내는 장소로 오시라는 의미이다. 주인이 향상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따라 주는 술을 세번으로 나누어 모시기에 붓고 두 번 절한다.

  • 4. 참신(參神)

    신위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이다. 이때 신주를 모시고 차례를 지낼 경우에는 강신을 하기 전에 신주를 모시고 나서 바로 참신을 하고, 지방으로 모실 경우에는 강신을 하고 참신을 한다. 제주이하 참석한 모든 가족들이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5. 진찬(進饌)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차례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될 음식을 차린다.

  • 6. 헌작(獻酌)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4대의 조상을 모시는 제례이므로 각 신위에 따로 잔을 올려야 한다.

  • 7. 계반삽시(啓飯揷匙)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로 삽시정저(揷匙正著)라고도 한다. 추석 때에는 젓가락을 송편 위에 올려놓으면 된다.

  • 8. 합문(闔門)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는 시간이다. 참사자들은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린 후 모두 엎드린다.

  • 9. 계문(啓門)

    4~5분 후 연장자가 기침을 세번하면, 전원이 제청 안으로 들어오거나, 병풍을 걷고 일어선다.

  • 10. 철시복반(撤匙復飯)

    수저를 거두고, 메의 뚜껑을 덮는다는 절차로 추석차례에서는 젓가락을 내린다.

  • 11. 사신(辭神)

    참사자들이 절을 하여 모셔왔던 신을 보내 드리는 절차이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12. 납주(納主)

    신주를 원래의 자리인 사당 감실에 모신다. 지방을 모셨을 경우 지방을 향로 위에 놓고 태운다.

  • 13. 철상(撤床)

    진설한 차례음식을 거두어 내리고 차례상 등의 기물을 정리한다.

  • 14. 음복(飮福)

    주인과 참사자들이 음복주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 차례상 첫번째는 설날차례상이고 두번째는 추석차례상입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독~!!! 청산도 갤러리와 동영상, 자유게시판에 글쓰는 방법입니다...^^ [1] 한바다 2014.04.02 57349
1541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658
1540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660
1539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611
1538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616
1537 2010 청산도 여행 file 조병훈 2010.03.14 2699
1536 2010 청산도 여행 file 조병훈 2010.03.14 2591
1535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737
1534 청산도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700
1533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654
1532 2010 청산도 여행 file 김정우 2010.03.14 2212
1531 청산도 관광지 순환버스 운행 file 한바다 2010.03.07 2559
1530 감성돔을 찿아서 file 최우석 2010.03.03 2521
1529 졸업 file 김찬호 2010.02.11 2669
1528 졸업축하해~ 찬호야~ 빛고을후니 2010.02.12 2753
1527 산행 file 김규식 2010.02.06 2548
» 차례란 무엇인가요? file 한바다 2010.02.04 2879
1525 김송기 아우님... file 장광일 2010.01.11 2768
1524 장광일작가님 file 김송훈 2010.01.13 2766
1523 정상 file 김은영 2010.01.08 2563
1522 광주매일 091225 슬로시티 청산도 file 정현 2009.12.26 3047
XE Login